CHARACTER DESIGN, UTILIZATION STRATEGY, 3D APPLICATION, DOLL DEVELOPMENT
Location
SOUTH KOREA
CHARACTER DESIGN
KEYWORDS
착한에너지학교 캐릭터들이 전하는
친환경에너지 교육 프로그램
에너지
친환경
교육
SK E&S의 착한에너지학교 프로그램을 위한 통합 캐릭터 체계를 성공적으로 구축했습니다.
‘착한에너지학교’는 SK E&S의 초등학교 어린이 대상 친환경 에너지 인식 개선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저희는 SK E&S가 제공하고 있는 각 에너지원의 특징을 담은 교육용 캐릭터 ‘썬돌이’, ‘윈디’, ‘G베어’, ‘레이’를 개발했습니다. 이 캐릭터들은 교육 콘텐츠 및 굿즈 전반에 활용되어 어린이들이 쉽고 재미있게 친환경 에너지에 관심을 갖도록 설계되었으며, 미래 세대의 환경 보호 활동 참여를 독려하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는 것을 목표로 제작하였습니다.
특히, 각 캐릭터는 리더십, 안정성, 활력, 자유로움을 상징하는 교육적 가치를 담고 있으며, 시각적 아이덴티티 구축, 마케팅 전략 및 디자인 요소 등을 아우르는 총체적인 시스템을 통해 교육 현장에서 긍정적인 시너지와 에너지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에너지와 비행기에 깊은 관심을 가진 레이는 착한에너지학교의 반장이자, 신재생 에너지로 지구를 지키는 ‘클린 파일럿’을 꿈꾸는 캐릭터입니다. 밧데리 형태의 ESS 헬멧과 에너지 벨트를 활용해 비행기를 조종하는 꼬마 파일럿으로서, 즐겁고 유익한 친환경에너지 학습을 이끄는 주인공 역할을 수행합니다.
태양처럼 밝고 활기찬 성격의 썬돌이는 레이의 절친이자 착한에너지학교의 학생으로, 태양광 스케이트보드를 타며 묘기를 부리고 직접 튜닝하는 것에도 흥미를 느낍니다. 보드를 통해 생성된 에너지는 저장되어 다양한 동력원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썬돌이의 친환경 에너지 활용은 동급생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G베어는 지구 온난화로 북극을 떠돌다 교장선생님에게 발견되어 착한에너지학교에 입학한 특별한 학생입니다. 현재는 LNG 발전소의 든든한 보안관으로 활약하며, 친환경 운동가를 꿈꾸고 있습니다. 교장선생님과 함께 세계 곳곳을 여행하며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윈디는 G베어와 함께 표류하던 중 교장선생님에게 발견되어 착한에너지학교에 입학하게 된 친구입니다. 더위를 유독 싫어하는 체질 때문에 자연스럽게 바람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머리 위 풍력 에너지 바람개비를 통해 자유롭게 하늘을 날아다닙니다. 현재는 레이의 태양광 비행기와 함께 하늘을 누비며 친환경 에너지의 가치를 몸소 실천하고 있습니다.
차별화된 접근: 시너지 확대를 위한 총체적 시스템 구축
저희는 단순한 교육 자료 제공을 넘어, ‘착한에너지학교’의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시각적 아이덴티티 구축부터, 디자인 요소까지 아우르는 총체적인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이러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은 교육 현장에서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에너지 교육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착한에너지학교', 교육기부 우수기관 선정 및 대상 수상
캐릭터 개발 이후 착한에너지학교는 교육부 인증 『교육기부 우수기관』에 지정되었으며, 교육부 장관 표창인 『교육기부대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캐릭터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은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친환경 에너지의 중요성을 자연스럽게 체험하고 공감할 수 있게 하며, 지속 가능한 환경 가치 확산에 기여하는 교육 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착한에너지학교가 SOVAC에서 전하는 메시지
국내 사회적 가치 플랫폼 SK ‘SOVAC’ 참여를 통해 착한에너지학교의 친환경 에너지 교육 콘텐츠 및 캐릭터 활용 사례를 성공적으로 소개했습니다. 레이, G베어, 썬돌이, 윈디 캐릭터의 역할과 실제 교육 현장 활용 사례를 상세히 공유하며, 단순 정보 전달을 넘어 흥미 유발 및 공감대 형성을 이끌어내는 착한에너지학교 프로그램 효과를 알리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캐릭터와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에너지 지식: 착한에너지학교의 교육 효과 사례
에너지박물관에 설치된 실물 크기 캐릭터 조형물은 방문객들의 관심을 끌며 교육 콘텐츠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특히 캐릭터 인형은 교실 교구재로 활용되어 학생들이 에너지 지식을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친근한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특별 전시 및 체험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교육 효과의 지속성을 높일 수 있었습니다.